철근 콘크리트9 슬래브의 설계 슬래브는 수평으로 설치되어 면에 직각으로 힘을 받는 판형의 수평 구조재로 벽체나 보 혹은 기둥에 지지되며, 또한 지반에 지지되기도 한다. 슬래브에는 1방향 슬래브와 2방향 슬래브, 캔틸래버 슬래브, 플랫 슬래브,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 등이 있다. 네 변에 고정되는 슬래브 중 1방향 슬래브는 장변의 길이가 단변 길이의 2배 이상일 경우를 칭하며, 1방향 주근을 배치하며 단변 방향을 주근, 장변 방향을 부근(배력근)으로 배치해야 하며 대부분 단변 방향으로 하중을 분담한다. 이때 슬래브의 변형은 1방향 곡률을 이루어 보와 유사한 거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1방향 슬래브의 해석 및 설계는 단위 폭 1m를 폭으로 하고 지지점 사이를 스팬으로 하는 연속보로 가정하여 설계한다. 단, 장변에 대한 단변의 비가 0.5 .. 2022. 7. 16. 기둥의 설계 기둥이란 높이가 단면 최소 치수의 3배 이상인 압축 부재로써 선축 구조물의 뼈대를 이루며 바닥 판 하중이 보를 통하려 전달되는 축 방향 압축 하중을 받게 되어 지진력이나 풍하중 등 수평 하중과 보의 단부 모멘트에 의하여 휨 모멘트도 받는 부재이다. 여기서 축 방향 철근을 주근, 횡 방향 보강 철근을 띠철근, 혹은 후프. 혹은 대근이라 부른다. 주철근의 단면적은 전체 단면적의 0.01배 이상, 0.08배 이하여야 하며 겹침 이음 되는 경우의 철근비는 0.04를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주철근의 최소 개수는 사각형과 원형일 경우 4개, 삼각형일 경우 3개, 나선형일 경우 6개를 만족해야 한다. 기둥의 길이 방향 철근의 지름 12mm 또는 D13 이상으로 해야 한다. 띠철근은 주근 주위를 수평으로 둘러 감.. 2022. 7. 16. 옹벽과 벽체의 설계 옹벽이란 지반의 자연 경사 면에 급격한 변화나 토압에 저항하려 흙의 붕괴를 맞는 구조물로써, 옹벽의 형식은 벽의 자중으로 토압에 저항하게 하는 중력식과 벽 및 기초 상부에 채워지는 흙의 중량으로 토압에 저항하도록 한 캔틸레버 식 및 부벽식 옹벽을 들 수 있다. 쉽게 말해 아파트에서 지하층이 있는데 말 그대로 지하에 있다 보니 흙이 건물을 둘러싸고 있는데 이 토압으로부터 건물의 붕괴를 맞는 역할을 한다. 옹벽 설계 시는 옹벽의 높이, 시공 현장의 조건, 시공성 등 경제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하며 일반적인 순서는 지형조사 및 토질조사 (오염토 발견 시 상당 기간 토공사부터 지연이 될 수 있다), 설계 조건 결정, 옹벽 형상 및 단면, 토압 산정, 안정 계산, 부재 설계, 뒤채움 흙의 배수 설비 등의.. 2022. 7. 14. 기초 설계 기초는 건물을 올릴 때 최하부에 형성되어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전달받아 지반(땅)으로 전달해주는 구조체이다. 기초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첫 번째로 직접기초는 전면 기초, 독립 기초, 줄기초가 있으며 상부 구조의 하중을 기초에서 지반으로 직접 전달한다는 의미로 직접기초라 한다. 두 번째로 간접 기초가 있는데 상부 구조의 하중을 말뚝(파일) 등을 지반에 항타 하여 심은 후 전달하는 방식으로 선단지 지력과 주면 마찰력을 지지한다. 말뚝기초는 말뚝 구경의 2.5배 범위에 다른 말뚝을 설치하면 안 된다. 직접기초 중 독립기초는 기둥 1개의 하중을 1개의 기초 판에 부담시킨 기초이고 복합 기초는 여러 개의 기둥을 1개의 기초 판에 전달하는 형식으로 도심지에서 주로 활용한다. 캔틸레버 기초는 독립 기초 2개를 .. 2022. 7. 1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