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자가 알려주는 풍차돌리기 적금의 모든것
흙수저 탈출을 향한 발자취

경험자가 알려주는 풍차돌리기 적금의 모든것

by 뽀또a 2022. 10. 23.
반응형

재테크의 방향성은 경제 상황에 따라 변화하고 시대적,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최근 몇 년간 부동산 투자와 주식 투자가 주목을 받아왔다면 하락장이 시작된 이 시기에 풍차 돌리기 적금 재테크가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습니다.

 

돼지저금통-섬네일
돼지저금통-섬네일

 

풍차 돌리기 적금 재테크란?

매월 1년 만기 적금에 가입해 고정된 금액을 납입하며 매년 총 12개의 통장을 고정적으로 운용하는 재테크 방법입니다.

이 모습이 마치 풍차가 돌아가는 것 같다고 하여 풍차 돌리기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풍차돌리기-예시
풍차돌리기-적금-예시

 

저 또한 7년 전 즈음에 실제로 풍차 돌리기 적금을 했던 적이 있었는데 그때도 지금처럼 금리가 오르면서 한참 이슈가 되던 시기였습니다. 인터넷으로 적금 가입 시 추천인을 적으면 이율 0.1%를 더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그 0.1%라도 더 받기 위해 카페 회원들끼리 서로를 추천인으로 등록하면서 댓글이 꼬리에 꼬리를 물며 수십 개씩 이어졌던 그 경험이 새록새록 기억납니다.

 

그렇다면 이미 수년이 지났는데 왜 이제 와서 풍차 돌리기 적금 재테크가 다시금 주목받기 시작했을까요?

 

생각해보면 지난 몇 년간 부동산과 주식은 사회생활을 적어도 수년~수십 년간은 지속해온 30대 이상 직장인들의 산물이었습니다.

즉, 어느 정도의 자본금이 있어야 자신의 미래를 바꿀 수 있을만한 기회를 잡을 수 있었던 것이죠.

사회 초년생인 20대 분들에겐 초기 투자금이 많은 부동산은 꿈도 못 꾸는 투자처였고, 주식은 자신의 미래를 바꿀 수 있을 만큼은 불가능한 소액으로만 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그 작은 기회마저도 경기 침체의 직격탄으로 힘들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제는 공격적인 투자보다는 나중을 위해 잠시 쉬어가고 혹시나 찾아올 그 기회를 잡기 위한 자본금을 마련해야 하는 시기가 찾아왔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현 경제 상황은 사회 초년생에게는 오히려 자본금을 축적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의 시기라 생각됩니다.

 

경기 침체는 금리 인상을 불러일으켰고, 미 기준 금리는 최소 2년간 4~5%대를 유지할 것이라는 미 전문가들의 의견이 절대적입니다. 우리나라의 금리도 미국 금리를 따라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 정도 선을 유지하겠지요.

 

즉, 특별한 투자처가 없는 사회 초년생들에게는 자본금 마련을 할 타이밍이라 보면 될 겁니다.

 

 

 

2022년 10월 21일 현재 이 글을 보고 있는 분이라면 즉각적인 투자보다는 투자를 하기 위한 자본금을 마련하시길 권합니다.

 

제 경험을 바탕으로 말씀드리자면, 오로지 본인이 경험을 해보지도 않고 떠드는 언론이나 조회수를 위한 글들을 믿어서는 안 된다는 겁니다. 풍차 돌리기 적금보단 이율이 높은 적금이나 5천만 원 이하의 예금에 가입하여 훗 날을 기다리시길 바랍니다.

매 월 무리하게 적금 금액을 달리 하는것보단 안정적이고, 꾸준한 소비 계획에 따른 적금액을 산정하여 가입하시길 경험자로서 진심으로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